본문 바로가기
기본지식

가상화 Virtualization,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by 꾸적꾸적 2025. 3. 25.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을 사용할때 문제점은,

가벼운 시스템인 경우, 시스템에서 유휴상태의 자원이 많이 남아돈다는  것.

 

따라서, 이러한 유휴상태인 자원까지도 활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을 둘 또는 그 이상의 가상 시스템으로 분할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뜻함.

 

그렇다면, 그 가상화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운영체제를 한번에 돌릴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플랫폼)이 필요한데,
이를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라고 부른다.

 

가상화(Virtualization)
: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을 여러 가상 시스템으로 분할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 호스트 컴퓨터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시키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 시스템.
  가상화 머신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 또는 가상화 머신 매니저(Virtual Machine Manager) 라고도 불리며,게스트 운영체제와 그 운영체제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실제 물리적 장치에서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뜻함.

 


하이퍼바이저의 분류 방식

 

 

하이퍼바이저는 총 2+1가지로 분류가 가능함.

 

 

Type 1

 

하드웨어에서 직접 하이퍼바이저가 실행되고, 게스트 운영체제는 그 위에서 돌아가는 형태

Type1
게스트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하드웨어

 

ex. Xen, VMware ESXI, Hyper-V, Proxmox

필자는 Proxmox를 우선 공부할 예정.

 

Type 2

 

하드웨어에서 호스트 운영체제를 실행한 뒤, 하이퍼바이저가 실행되고, 게스트 운영체제는 그 위에서 돌아가는 형태

쉽게 생각하면, OS(호스트 운영체제)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여 추가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방식.

Type2
게스트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호스트 운영체제
하드웨어

 

ex. VMware Server, VMware Workstation, VirtualBox, Qemu 등

대게 윈도우에서 돌리는 가상머신을 생각하면 쉽다.

 

Type 1.5?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Type 1 하이퍼바이저 이지만 커널기반 가상 머신이라는 이름을 가진 만큼,

커널 상에서 CPU의 가상화 지원을 기반으로 구동되며, 사용자 환경에서는 Type2의 Qemu 라는 가상 머신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동된다.

 

다만, 필자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므로 추후 QEMU를 공부할때 더 자세히 공부할 생각임.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협, 위험, 취약점, 자산 차이점 및 외우기 방법  (1) 2025.04.02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란?  (0) 2025.03.28
여러가지 프린터 연결 방법  (1) 2025.03.28
MSTSC  (1) 2025.03.26
CPU  (0) 2025.03.25

댓글